본문 바로가기

1

조경수목의 분류

반응형

1. 색물의 성상에 따른 분류

ㄱ. 나무 고유의 모양에 따른 분류

나무가 성숙했을 때 높이나 나무 고유의 모양에 따라 교목, 관목, 덩굴식물로 구분합니다. 교목은 높이 2~3m 이상의 곧은 줄기가 있고 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명확하고 키가 큰 나무를 말합니다. 교목에는 소나무, 주목, 전나무, 잣나무, 향나무, 동백나무, 은행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느티나무, 모과나무, 왕벚나무, 배롱나무, 산수유 등이 있습니다. 관목은 높이 2m 이하의 지표로부터 줄기가 여러 갈래로 나와 줄기와 가지의 구별이 불명확합니다. 관목에는 미선나무, 옥향, 회양목, 사철나무, 팔손이, 모란, 명자나무, 조팝나무, 낙상홍, 진달래, 철쭉, 쥐똥나무, 개나리, 무궁화, 탱자나무, 수수꽃다리 등이 있습니다. 덩굴식물은 스스로 서지 못하고 다른 물체를 감거나 부착하여 개체를 지탱하는 수목으로 만경목이라고도 합니다. 덩굴식물에는 능소화, 등나무, 담쟁이덩굴, 으름덩굴, 포도나무, 인동덩굴, 머루, 송악, 오미자 등이 있습니다.

※ 미선나무의 특징
꽃은 지난해에 형성되었다가 3월에 잎보다 먼저 총상 꽃차례로 달립니다. 물푸레나뭇과로 원산지는 한국이며, 세계적으로 1속 1종뿐입니다. 열매의 모양이 둥근 부채를 닮았습니다. 잎은 마주나기를 합니다.

ㄴ. 잎의 모양에 따른 분류

잎의 모양에 따라 침엽수와 활엽수로 나뉩니다. 침엽수는 잎 모양이 바늘처럼 뾰족하며, 꽃이 피지만 꽃 밑에 씨방이 형성되지 않는 겉씨식물로 잎이 좁습니다. 2엽속생에는 소나무, 곰솔, 흑송, 방크스소나무, 반송이 있으며, 3엽속생에는 백송, 리기다소나무, 리기테다소나무, 대왕송이 있습니다. 5엽속생에는 섬잣나무, 잣나무, 스트로브잣나무가 있습니다. 활엽수는 속씨식물로 잎이 넓습니다. 활엽수에는 태산목, 먼나무, 굴거리나무, 호두나무, 서어나무, 상수리나무, 느티나무, 칠엽수, 자작나무, 왕벚나무, 가중나무 등이 있습니다.

※ 은행나무는 잎은 넓으나 침엽수로 쓰이고, 위성류는 잎은 좁으나 활엽수로 쓰입니다. 조경설계시 은행나무는 침엽수이지만 활엽수로 표현하고, 위성류는 활엽수이지만 침엽수로 표현합니다.

ㄷ. 잎의 생태상에 따른 분류

상록수는 사계절 내내 잎이 푸른 나무입니다. 상록수에는 소나무, 전나무, 주목, 백송, 사철나무, 동백나무, 회양목, 독일가문지 등이 있습니다. 낙엽수는 낙엽이 지는 계절에 일제히 잎을 떨구는 나무입니다. 낙엽수는 낙엽송, 은행나무, 칠엽수, 산수유, 메타세쿼이아, 층층나무, 백목련 등이 있습니다.

2. 관상면으로 본 분류

ㄱ. 꽃이 아름다운 나무

계절에 따라 분류를 하면 봄꽃은 진달래, 동백나무, 명자나무, 목련, 영춘화, 박태기나무, 철쭉, 조팝나무, 신사나무, 매화나무, 개나리, 산수유, 수수꽃다리, 배나무, 등나무 등이 있고, 여름꽃은 배롱나무, 협죽도, 자귀나무, 석류나무, 능소화, 치자나무, 마가목, 산딸나무, 층층나무, 수국, 무궁화, 백합나무 등이 있습니다. 가을꽃은 무궁화, 부용, 협죽도, 금목서, 은목서 등이 있고, 겨울꽃은 팔손이나무, 비파나무 등이 있습니다. 색상에 따라서 분류하면 백색 꽃은 매화나무, 조팝나무, 팥배나무, 산딸나무, 마가목, 노각나무, 백목련, 탱자나무, 돈나무, 태산목, 치자나무, 백당나무, 호랑가시나무, 팔손이나무, 함박꽃나무, 층층나무, 광나무, 때죽나무, 살구나무 등이 있고, 붉은색 꽃은 백태기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모란, 자귀나무, 능소화, 석류나무, 무궁화, 부용, 명자나무 등이 있습니다. 노란색 꽃은 고로쇠나무, 풍년화, 산수유, 매자나무, 개나리, 백합나무, 황매화, 죽도화, 이나무, 생각나무, 골담초, 영춘화 등이 있고, 자주색 꽃은 박태기나무, 수국, 오동나무, 수수꽃다리, 등나무, 무궁화, 좀작살나무 등이 있습니다. 개화시기에 따른 분류로는 2월은 매화나무, 풍년화, 동백나무, 영춘화, 3월은 매화나무, 생강나무, 개나리, 산수유, 조팝나무, 미선나무, 4월은 호랑가시나무, 벚나무, 꽃아그배나무, 백목련, 박태기나무, 이팝나무, 등나무, 5월은 이팝나무, 귀룽나무, 때죽나무, 산딸나무, 일본목련, 고광나무, 병꽃나무, 쥐똥나무, 다정큼나무, 인동덩굴, 산사나무, 6월은 수국, 아외나무, 태산목, 치자나무, 7월은 노각나무, 배롱나무, 자귀나무, 무궁화, 능소화, 8월은 배롱나무, 싸리나무, 무궁화, 9월은 배롱나무, 싸리나무, 10월은 금목서, 은목서, 11월은 팔손이, 비파로 분류한다.

ㄴ. 열매가 아름다운 나무

열미가 아름다운 나무에는 피라칸타, 낙상홍, 사철나무, 탱자나무, 주목, 석류나무, 감탕나무, 생각나무, 오미자, 대추나무, 산수유, 마가목, 살구나무, 팥배나무, 꽃사과나무, 돈나무, 꽝꽝나무, 쥐똥나무, 굴거리나무, 은행나무, 모과나무 등이 있습니다.

ㄷ. 잎이 아름다운 나무

잎이 아름다운 나무에는 주목, 식나무, 벽오동, 단풍나무류, 계수나무, 은행나무, 측백나무, 대나무, 호랑가시나무, 낙우송, 소나무류, 위성류, 칠엽수, 금목서, 팔손이나무 등이 있습니다.

ㄹ.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

단풍이 아름다운 나무 중 홍색계 나무는 단풍나무류, 화살나무, 붉나무, 감나무, 당단풍나무, 복자기나무, 산딸나무, 매자나무, 참빗살나무, 참천, 배롱나무, 희말채나무 등이 있고, 황색 및 갈색계 나무에는 은행나무, 벽오동, 버드나무류, 느티나무, 계수나무, 낙우송, 메타세쿼이아, 고로쇠나무, 참느릅나무, 때죽나무, 석류나무, 칠엽수, 갈참나무, 백합, 졸참나무, 모감주나무, 버즘나무 등이 있습니다.

ㅁ. 수피가 아름다운 나무

백색계에는 백송, 분비나무,자작나무, 동백나무, 층층나무, 버즘나무, 노각나무 등이 있고, 갈색계에는 해송, 편백, 철쭉류, 모과나무 등이 있습니다. 청록색계에는 식나무, 벽오동나무, 탱자나무, 죽단화 등이 있고, 적갈색은 소나무, 주목, 삼나무, 섬잣나무, 흰말채나무, 모과나무 등이 있습니다.

3. 이용상 분류

ㄱ. 녹음용 또는 가로수용 수목

여름철에 강한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식재하는 나무입니다. 녹음수는 여름에는 그늘을 제공하지만, 겨울에는 낙엽이 져서 햇볕을 가리지 않아야 합니다. 녹음수는 수관이 크고, 큰 잎이 치밀하고 무성합니다. 지하고가 높고 병해충이 적은 큰 교목이 좋습니다. 적용 수종은 느티나무, 은행나무, 버즘나무, 칠엽수, 백합나무, 회화나무, 단풍나무, 벽오동, 왕벚나무 등이 있습니다.

ㄴ. 산울타리 및 차폐용

산울타리는 살아있는 수목을 이용해서 도로나 가장자리의 경계를 표시하거나 담장 역할을 합니다. 차폐용 수목으로는 시각적으로 아름답지 못하거나 불쾌감을 주는 곳을 가려줍니다. 산울타리 및 차폐용 수목의 조건으로는 상록수로서 가지와 잎이 치밀해야 하고, 적당한 높이로서 아래 가지가 오래도록 말라 죽지 않아야 합니다. 맹아력이 크고 불량한 환경 조건에도 잘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전정에 강하고 유지 관리가 용이한 수종이 좋습니다. 외관이 아름다운 것이 좋습니다. 적용 수종에는 측백나무, 쥐똥나무, 사철나무, 개나리, 무공화, 회양목, 호랑가시나무, 명자나무 등이 있습니다.

ㄷ. 방음용

도로변의 소음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나무를 심습니다. 잎이 치밀한 상록교목이 적합하며, 지하고가 낮고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견디는 힘이 강한 수종을 고릅니다. 적용 수종으로는 회화나무, 측백나무, 구실잣밤나무, 녹나무, 식나무, 아왜나무, 후피향나무 등이 있습니다.

ㄹ. 방풍용

바람을 차단하고 풍압을 견딜 수 있는 심근성 수목이며 줄기와 가지가 강한 상록수이어야 합니다. 실생번식으로 자란 직근성 자생종을 고릅니다. 적용 수종으로는 곰솔, 삼나무, 편백, 전나무,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아왜나무, 동백나무, 은행나무, 가시나무, 녹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등이 있습니다.

ㅁ. 방화용

화재발생 시 주위로의 확산이나 연소시간을 지연시킬 목적으로 식재합니다. 방화용 수목은 가지가 많고 잎이 무성하며 수분이 많은 상록활엽수가 좋습니다. 적용 수종으로는 가시나무, 굴거리나무, 후박나무, 돈나무, 감탕나무, 사철나무, 편백, 화백 등이 있습니다.

반응형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재료인 목질재료  (0) 2022.11.07
식물의 재료 중 지피식물과 초화류  (0) 2022.10.05
조경 재료의 분류와 특성  (0) 2022.09.29
여러가지 공간별 조경 설계  (0) 2022.09.28
공간별 조경설계 사례  (0) 2022.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