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질 재료의 특징
1) 목재의 장단점
조경공간에서 이용하는 목재의 용도에는 의자, 퍼걸러, 정자, 탁자, 조합놀이대, 게시판 등이 있습니다. 목재의 장점은 색깔 및 무늬의 외관이 아름답고, 재질이 부드럽고 촉감이 좋습니다. 무게가 가볍고 운반이 용이합니다. 무게에 비하여 강도가 크고, 단열성도 좋습니다. 가공하기 쉽고 열전도율이 낮습니다. 인장강도가 압축강도보다 큽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에 대한 제한이 없습니다. 목재의 단점은 자연소재이므로 부패성이 매우 큽니다. 목재의 함수율에 따라 팽창, 수축하여 변형이 잘 됩니다. 목재의 부위에 따라 재질이 고르지 못합니다. 구부러지고 옹이가 있습니다. 내화성이 약합니다.
2. 목재의 성질
목재는 함수율이 낮을수록, 비중이 높을수록 강도가 높습니다. 목재의 강도 순서는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순입니다. 목재는 외력(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이 섬유 방향으로 작용할 때 강합니다.
3. 목재의 종류
1) 원목
베어 낸 그대로의 아직 가공하지 아니한 나무로 거친 질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제재목
원목을 가공한 제품으로 두께, 폭 및 형상에 따라 각재와 판재로 구분합니다. 각재류는 폭이 두께의 3배 미만인 것이고, 판재류는 두께가 7.5cm 미만에 폭이 두께의 4배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3) 합판
목재를 얇은 판을 깎은 단판에 접착제를 바른 다음 나무의 결이 엇갈리게 여러 겹으로 붙여서 만든 판상의 가공재입니다. 가공된 합판은 나뭇결이 아름답고, 홀수의 판을 압축하여 만듭니다. 내구성과 내습성이 크며, 수축, 팽창의 변형이 거의 없습니다. 고른 강도를 유지하며 넓은 판을 균일한 크기로 제작 가능합니다. 제품이 규격화되어 사용이 능률적입니다. 단점은 내화성이 약합니다.
4) 대나무
왕대, 섬대, 솜대, 해장죽, 맹종죽 등 그 종류가 다양합니다. 외측 부분이 내측 부분보다 우수합니다. 대기에서 건조할 때 10~20일, 통죽재로 건조할 때 4~6개월이 소요됩니다. 벌채는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가 적당합니다. 대나무의 기름을 빼려면 불에 쬐어 수세미로 닦아줍니다. 신이대는 조릿대류로 길게 자라고 생장 후에도 껍질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외관이 아름답고 탄력이 좋은 반면 잘 쪼개지고 썩기 쉬우며 벌레의 피해를 쉽게 받는 단점이 있습니다.
5) 섬유재
볏짚, 새끼줄, 밧줄 등이 조경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볏짚은 약한 나무를 보호하기 위하여 줄기를 싸 주거나 지표면을 덮어주는 데 사용됩니다. 천공성 해충의 침입을 방지합니다. 햇빛에 타는 것을 방지합니다.
6) 녹화마대
수목이식 후 수간보호용으로 사용하며 미관 조성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수목 굴취 시 뿌리분을 감는 데 사용하며, 포트 역할을 합니다. 세근 형성에 도움을 주는 마 소재의 친환경 재료입니다. 통기성, 흡수성, 보온성, 부식성이 우수하여 줄기 감기용으로 사용합니다.
7) 거푸집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입니다. 박리제는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으로 해체할 때 모체와 잘 떨어지라고 바르는 소모성 재료입니다.
8) 고이어 메시
코코넛 열매를 원료로 한 천연 섬유재료입니다. 절토, 성토, 호안공사, 하천제방 법면 보강공사에 사용합니다.
4. 목재의 특성
1) 침엽수와 활엽수
침엽수는 가볍고 목질이 연하며 탄력이 있고 질겨서 건축이나 토목의 구조재용으로 사용됩니다. 향나무, 낙엽송은 침엽수이지만 목질이 단단합니다. 활엽수는 무늬가 아름답고 단단하며 재질이 치밀하여 가구제작과 실내건축용으로 사용됩니다. 포플러, 오동나무는 활엽수이지만 목질이 연합니다.
2) 목재의 구조
춘재는 봄, 여름에 생긴 세포로 생장이 왕성하며 색깔이 엷고 재질이 연합니다. 추재는 가을, 겨울에 생긴 세포로 치밀하고 단단하며 빛깔이 진합니다. 나이테는 수심을 중심으로 춘재와 추재가 모여 하나의 동심원을 이룬 것으로 생장이 느린 수목이나 추운 지방에서 자란 수목은 나이테가 좁고 치밀합니다. 심재는 목재의 수심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는 적갈색 부분입니다. 세포들은 거의 죽어서 원형질이 파괴되고, 함수율도 작습니다. 강도와 내구성은 큽니다. 변재는 목재의 표면에 위치한 흰색 부분입니다. 함수율이 높아 건조가 느리며, 강도나 내구성이 심재보다 작습니다. 심재보다 흡수성, 수축변형이 크고, 수액의 이동과 양분의 저장 역할을 합니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물의 재료 중 지피식물과 초화류 (0) | 2022.10.05 |
---|---|
조경수목의 분류 (0) | 2022.09.29 |
조경 재료의 분류와 특성 (0) | 2022.09.29 |
여러가지 공간별 조경 설계 (0) | 2022.09.28 |
공간별 조경설계 사례 (0) | 2022.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