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경관의 유형
1) 전 경관 (파노라마 경관)
사야에 제한을 받지 않고 멀리까지 트인 경관으로 자연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초원, 수평선, 지형선, 높은 곳에서 시야가 가려지지 않고 멀리 퍼져 보이는 경관을 말합니다.
2) 지형경관 (천연미적 경관)
지형이 특징을 나타내고 관찰자가 강한 인상을 받는 지표 경관을 말합니다. 절벽, 산봉우리 등 주변 환경의 지표 역할을 합니다. 지형에 따라 신비함, 경외감, 놀라움 등 다양한 감정의 변화를 줍니다.
3) 위요 경관
시선을 끌 수 있는 낮고 평탄한 중심공간에 숲이나 울타리처럼 자연스럽게 둘러싸여 있는 경관을 말하며, 중심공간 주위에 둘러싸인 수직적 요소가 정적인 느낌을 자연스럽게 줍니다. 시선의 주의를 끄 수 있어 소규모의 지형도 경관으로서 의의를 갖게 해 줍니다.
4) 초점경관
관찰자의 시선이 어느 한 점으로 유도되도록 구성된 공간을 말합니다. 폭포, 암석, 수목, 분수, 조각, 기념탑 등의 경관요소가 초점의 역할을 합니다. 비스타 경관은 좌우로의 시선이 제한되고 중앙의 한 점으로 시선이 모이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5) 세부경관
세부적인 사항까지 지각될 수 있는 경관을 말하는 것으로 내부지향적이며 공간 구성요소들의 모양, 색채, 냄새 등 지각이 가능합니다.
6) 일시경관
기상변화에 따른 자연경관의 모습이 달라지는 경우로 자연의 다양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설경, 무지개, 노을, 동물의 일시적 출현하며 연못에 반사된 투영도 있습니다.
7) 관개경관 (터널적 경관)
교목의 수관 아래에 형성되는 경관으로 수목이 터널을 이루는 경관을 말합니다. 담양의 메타세쿼이아길, 청주의 플라타너스길, 숲속의 오솔길 등이 있습니다.
2. 경관 구성의 기본원칙
경관 구성의 원칙은 통일성과 다양성이 주가 됩니다. 통일성이 높아지면 다양성이 낮아지며, 다양성이 높아지면 통일성이 결여되기 때문에 조화와 균형이 맞도록 해야 합니다.
1) 통일성
전체를 구성하는 부분적인 요소들이 통일성 또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고,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잘 짜여 있어 전체가 시각적으로 통일된 하나로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통일미는 소나무, 향나무 등 한 수종을 60%까지 식재하여 선, 형태, 색채를 통일시켰을 때의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ㄱ. 조화
색채, 형태가 유사한 시각적 요소들이 서로 잘 어울리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질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미적인 통일감을 줍니다.
ㄴ. 균형과 대칭
한쪽에 치우침 없이 양쪽의 크기가 무게나 보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는 구성미를 말합니다. 축을 중심으로 좌우 또는 상하로 균등하게 배치하는 대칭은 정형식 정원에 이용되고, 모양은 다르지만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무게가 비슷하며 시선을 끌는 정도가 비슷하게 분배되어 균형을 이루는 비대칭은 자연풍경식 정원에 활용됩니다.
ㄷ. 강조
비슷한 형태나 색채들 사이에 상반되는 것을 넣어 시각적으로 산만함을 막고 통일감을 조성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2) 다양성
ㄱ. 비례
형태, 색채에 있어 양적으로나 길이와 폭의 대소에 따라 일정한 크기의 비율로 증가 또는 감소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말합니다. 황금비례는 고대 그리스인들이 창안한 1:1.618의 이상적인 균형 잡힌 비례입니다.
삼재미는 하늘, 땅, 사람이 잘 조화될 때의 아름다움으로 동양에서는 미의 형태로 표현합니다.
ㄴ. 율동
강약, 장단이 주기성이나 규칙성을 가지면서 전체적으로 연속적인 운동감을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의 리듬에 맞추어 움직이는 분수, 시각적 율동 등이 있습니다.
ㄷ. 대비
상이한 질감, 형태 또는 색채가 서로 반대인 것을 배치할 때 변화를 주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형태상의 대비는 호수의 수평면에 접한 절벽 위의 정자가 있고, 색채상의 대비는 녹색의 잔디밭에 빨간색의 사루비아 군식이 있습니다.
3) 기타 미적원리
점증미는 특정한 형태가 점차 커지거나 반대로 서서히 작아지는 형식이 되는 것을 말합니다. 화단의 풀꽃을 엷은 빛깔에서 점점 짙은 빛깔로 맞추어 나갈 때 생기는 아름다움을 말합니다.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 계획과 설계의 과정 (0) | 2022.09.25 |
---|---|
조경계획과 설계의 개념 (0) | 2022.09.24 |
경관의 구성요소 (0) | 2022.09.22 |
일본의 조경양식 (0) | 2022.09.22 |
중국의 조경양식 (0) | 2022.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