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조경의 발달과 조경의 대상

반응형

1. 조경의 기원과 발전

조경의 기원은 인류가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한 원시시대부터입니다. 초기의 조경기술은 황 또는 귀족 계급의 궁전과 저택 정원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도시환경의 악화가 문제시되면서 도시 안에 녹지 또는 자연경관을 조성하고자 하는 노력이 일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결과 미국 뉴욕의 중심부에 센트럴 파크가 만들어졌습니다. 근대 이전은 주로 개인의 정원에 국한된 사적인 조경이 발전했으나, 현재에는 도시공원, 녹지와 같은 공적인 조경을 중심으로 발전해 가고 있습니다.

2. 조경의 개념

조경이란 정원을 포함한 옥외공간을 조형적으로 다루는 일로 외부공간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는 전문 분야입니다. 좁은 의미에서의 조경은 집 주변의 옥외공간이 주 대상으로 정원사가 관리를 하고, 넓은 의미의 조경은 정원을 포함한 광범위한 옥외공간을 의미합니다.

3. 조경의 뜻과 발전

조경이란 경관을 조성하는 전문 분야로 조경가라는 말은 미국의 홈스테드가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옴드테드는 현대조경의 아버지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1856년 미국 뉴욕 맨해튼 중심에 센트럴 파크를 설계할 당시 사용되던 정원사라는 용어가 정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좁은 뜻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전문성을 대변하는 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작업이 예술성을 지닌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생활환경을 만든다는 측면에서 건축가의 작업과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여 경관 건축가, 즉 조경가라고 이름을 지었습니다. 1858년 조경이라는 전문직업은 '자연과 인간에게 봉사하는 분야'라고 정의하였습니다.

1) 미국조경가협회

1909년에 창설되었습니다. 1909년 조경은 인가의 이용과 즐거움을 위하여 토지를 다루는 기술이라고 정의하고, 1975년 실용성과 즐거움을 줄 수 있는 환경조성에 목적을 두고 자원의 보존과 효율적 관리를 도모하며, 문화적 및 과학적 기식의 응용을 통하여 설계, 계획하고, 토지를 관리하며 자연 및 인공요소를 구성하는 기술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1990년에 이르러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의 연구, 계획, 설계, 시공, 관리 등을 위하여 요술 적, 과학적 원리를 적용하는 전문 분야라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2) 한국 조경의 필요성에 따른 교육

1970년대에 경제개발에 따른 국토 훼손이 심각해지면서 경관의 보전과 관리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처음으로 '조경'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습니다. 1973년 서울대학교, 영남대학교에 조경학과를 신설하였고,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을 신설하였습니다. 1975년 한국 건설부 조경 설계기준으로 조경이란 문자 그대로 경관을 조성하는 예술이며, 기능적이고 경제적이며 시각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보존하는 생태적인 예술성을 띤 종합과학예술입니다.

4. 조경의 대상

1) 조경의 대상

영역별로 조경대상지를 구분해보면 정원은 주택정원, 학교 정원, 옥상정원, 실내 정원, 아파트 등 공동 주거단지 정원이 있고, 도시공원은 소공원, 어린이 공원, 근린공원, 묘지공원, 도시자연공원, 체육공원,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생태공원 등이 있습니다. 자연공원은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 천연기념물 보호구역, 지질공원 등이 있고, 문화재로는 궁궐, 전통민가, 사찰, 성곽, 고분, 사적지, 목조와 석조 건축물, 서원 등이 있습니다. 위락관광시설로는 골프장, 야영장, 경마장, 스키장, 유원지, 휴양지, 삼림욕장, 낚시터, 해수욕장, 수상스키장 등이 있고, 그 외 기타로는 공원 단지, 캠퍼스, 주택단지, 고속도로, 자전거도로, 보행자 전용도로 등이 있습니다. 

2) 조경가의 역할

생태학과 자연과학에 기초를 하여 토지의 평가와 그에 대한 용도상의 적합도 및 능력을 판단하고 토지이용 배분 계획, 특성에 맞게 배치하는 조경계획 및 평가의 단계가 있습니다. 단지계획은 대지분석과 종합, 이용자를 분석하고 미적인 3차원 공간을 구체적으로 창조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자연 요소와 시설물을 기능적 관계나 대지의 특성에 맞게 배치합니다. 조경설계 단계는 식재, 포장 단계 등과 같은 한정된 문제를 해결하고 세부적인 설계로 발전시키는 고유작업의 영역입니다.

반응형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조경양식  (0) 2022.09.21
근세조경와 근대 현대 조경  (0) 2022.09.20
중세조경  (0) 2022.09.20
서양의 조경양식  (0) 2022.09.19
조경의 양식과 발생요인  (0) 2022.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