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근세조경
근세조경은 르네상스 시대를 시작으로 정원이 주가 되고 건축은 일부가 되었습니다. 고전주의에 대한 반발로 인간의 정체성을 찾고 자연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려는 사조가 생겼으며, 이로 인해 신보다 인간이 중심이 되는 문화, 즉 인본주의가 발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 이탈리아(노단건축식)
자연존중, 인간존중, 시민생활 안정, 정원이 옥외 미술관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15c르네상스의 시대이며 시민계급 자본을 바탕으로 한 정원이 유행하였습니다. 노단식은 이탈리아에서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기 위하여 경사진 부분과 평탄한 부분으로 나누어 경사지게 만든 형태입니다. 피렌체는 르네상스 문화와 더불어 최초로 노단건축식 정원이 발달한 장소입니다. 정원은 강한 축을 중심으로 정형적 대칭을 이루고, 지형과 기후로 인해 구릉과 경사지에 빌라가 발달하였습니다. 지형 극복을 위해 노단과 경사지를 이용하였으며, 흰 대리석과 암록색의 상록활엽수가 강한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축을 따라 축을 직교하여 분수, 연못 등을 설치하였습니다. 르네상스 3대 빌라로는 에스테장, 랑테장, 파르네장이 있습니다. 에스테장(Villa D'Este)은 평탄한 노단 중앙의 중심축 선이 최상부 노단에 있으며, 축 선상에 분수를 설치하여 물을 다양하게 사용하였으며 자수화단, 미로, 연못 등을 설치하였습니다. 랑테장(Villa Lante)은 담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4개의 노단으로 구성, 정원의 축과 연못의 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파르네장(Villa Farnese)은 비룔라가 설계하였고, 2개 층의 테라스가 있으며 캐스케이드로 수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 프랑스(평면기하학식)
지형이 평탄하고 저습지가 많고, 이탈리아 영향을 받았습니다. 이탈리아에서 유학하여 조경 공부를 한 앙드레 르노트르의 활약으로 조경이 발달하였습니다. 특징은 산림 내 소로(Allee)를 이용한 장엄한 스케일인 정원이 주가 됩니다. 비스타(Vista) 좌우로 시선을 집중, 일정 지점으로 시선이 모이도록 구성된 경관으로 산울타리로 총림과 기타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습니다. 화려하고 장식적인 정원으로 자수화단, 대칭화단, 구획화단, 물화단이 있습니다. 운하(CAnal)는 르노트르식을 특징하는 가장 중요한 시설 중의 하나입니다. 보르비콩트(Vaux-le-vicomte)정원은 최초의 평면기하학식 정원으로 건축은 루이 르보, 조경은 르노트르가 설계하였습니다. 조경은 주요소이고, 건물은 2차적 요소로 산책로, 총림, 비스타, 자수화단의 특징을 지닙니다. 루이 14세를 자극해 베르사유 궁원을 설계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베르사유(Versailles) 궁원은 세계 최대 규모의 정형식 정원으로 수렵지로쓰던 소택지에 궁원과 정원을 조성하였습니다. 300ha에 이르는 세계 최대 정형식 정원으로 바로크 양식입니다. 건축은 루이 르보, 조경은 르노트르가 설계하였습니다. 궁원은 모든 구성이 중심축과 명확한 균형을 이루며 축선을 방사상으로 전개해 태양왕(루이 14세, '짐은 국가다.')을 상징하였습니다. 총림, 롱프윙(Rondspoints), 미원(Maze), 소로(Allee), 연못, 야외극장, 아풀로 분수, 물극장, 라토나 분수 등을 배치하였습니다.
3) 네덜란드
정치적 요인 때문에 이탈리아의 영향은 받았지만 지형상 테라스의 사용은 불가능하였습니다. 분수와 캐스케이드가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프랑스와 이탈리아보다 정원 규모는 작고, 수로로 각 지역을 분리하였습니다. 약초, 화초 재배가 발달하였습니다.
2. 근대 현대조경
1) 영국(자연풍경식)
처음에는 이탈리아, 프랑스의 정형식 양식을 받아들였으나 자연복귀 사상과 목가적인 전원풍경 및 전통을 고수하고자 하는 국민성의 영향으로 정형식 조경수법의 수용을 거부하여 자연경관을 살리고자 자연풍경식 조경수법을 확립하였습니다. 다습하고 흐린 날이 많아 잔디밭과 보울링 그린이 성행하였습니다. 완만한 기복을 이룬 구릉이 전개되고 강과 하천도 완만한 흐름을 나타내고 있었습니다. 튜터왕조 후기 영국의 르네상스가 절정을 이루었습니다. 대부분 부유층을 위한 정원이었습니다. 축을 중심으로 한 기하학적 구성과 매듭화단, 미원 등이 유행하였으며, 네 사람이 걸을 수 있는 주도로인 곧은길, 축산, 보울링 그린, 약초원 등이 있었습니다. 자연풍경식정원은 17c 정형식 정원이 특징인 기하학적 형태에 대한 거부로 영국의 자연조건에 부합하는 자연풍경식이 발생하여 유럽 대륙으로 전파하였습니다. 스투어헤드(Stourhead)는 헨리호어가 설계하고, 켄트와 브리지맨이 디자인했습니다. 18C 자연풍경식 정원의 원형이 잘 남아 있는 작품이었습니다. 후수를 따라 산책로를 설치하여 주변의 구릉과 자연스럽게 연결했습니다.
2) 독일
무스코 정원은 퓌클러 무스카우 공작의 정원으로 강물을 자연스럽게 흐르게 하여 수경시설에 역점을 두었습니다. 전원생활의 모든 활동이 가능한 시설로 부드럽게 굽어진 도로와 산책로를 통해 시각적 아름다움을 표출하였습니다. 센트럴 파크에 낭만주의적 풍경식을 옮기는 역할을 하였습니다. 분구원은 소정원을 시민에게 대여하여 채소, 과수, 꽃 등의 재배와 위락을 위한 공간으로 우리나라의 주말농장과 흡사합니다. 현재까지 실용적인 면에서 시행 중입니다. 시뵈베르원은 1750년에 축조된 독일식 최초의 풍경식 정원입니다. 독일은 유럽 각국의 정원 스타일이 혼재하는 듯한 개성 없는 구성식이었으나 19세기 말엽이 되어서 실용적 정원이 발달하였습니다. 과학적 지식을 이용하여 자연 경관의 재생이 주목적이 되고, 그 지방의 향토수종을 배식하여 자연스러운 경관을 형성하여 실용적 정원이 발달하였습니다.